FBI 행동의 심리학 - Part 8 FBI, 요원의 속임수 간파하기

2021. 2. 4. 06:16독서/자기계발서 및 심리학

Part 8 FBI, 요원의 속임수 간파하기

    1. 당신이 행동으로 누설하는 진실
    1. 뇌, 행동통제센터
    1. 얼굴, 감정의 리트머스 시험지
    1. 팔, 생존을 높이는 도구
    1. 손, 성공을 움켜잡는 기술
    1. 다리, 진실과 거짓이 밝혀지는 곳
    1. 몸, 생존의 최전선
    1. FBI, 요원의 속임수 간파하기

  • 성능이 좋다고 자랑하는 거짓말탐지기조차 조작자에 따라 60 ~ 80% 정확도를 가진다.
    그러므로 비언어 행동으로 상대방의 거짓말을 식별하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고 신중해야 한다.

    내 행동이 상대방의 편안함을 결정한다.

    • 침착하게 질문하라
    • 의심스럽게 행동하지 말아라
    • 객관적으로 판단하고 있음을 보여라
      "이해하기가 좀 어렵습니다.", "한 번 더 설명해주시겠습니까?"
  • 편안함을 나타내는 신호

    • 상대방과의 시야를 가리는 것을 모두 치우는 행동(장벽 제거)
    • 몸을 상대방에게 기우는 행동
    • 내 긍정적 반응이 상대방에게 똑같이 나오는 행동(미러링)
    • 주머니에 손을 넣고 발을 교차한 채 옆으로 비스듬히 몸을 기울이는 행동
    • 이야기를 시작할 때 머리가 흔들리는 행동
  • 불편함을 나타내는 신호

    • 상대방과의 시야를 가리는 물건을 놓거나 몸을 가린다(장벽 형성)
    • 다리나 몸의 방향이 상대방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가리킨다
    • 이마, 얼굴, 목, 머리 뒤를 손으로 문지르거나 쓰다듬기
    • 눈동자를 굴리고 딴청을 부리거나 냉소적인 태도를 보이는 행동
    • 상대방과 가벼운 신체 접촉도 하지 않는다
    • 눈을 가리거나 감는다
    • 이야기를 시작한 이후에 머리가 흔들리거나 말하는 것과 반대되는 머리의 행동
  • 심각한 대화를 나눌 때 12계명

    1. 시야를 깨끗하게 하라. (테이블 제거)
    2. 진정시키는 행동이 나올 것을 예측하라.
    3. 처음의 긴장을 예상하라.
    4. 먼저 당신과 상호작용하는 사람이 함께 긴장을 풀 수 있도록 하라.
    5. 기준선을 설정하라.
    6. 진정시키는 행동이 증가한 원인을 찾아라.
    7. 질문하고 멈추고, 그리고 관찰하라.
    8. 조사받는 사람이 집중할 수 있도록 하라. (예리한 질문을 하라.)
    9. 수다는 진실이 아니다. (정보가 사실로 입증되어야 한다.)
    10. 스트레스는 유동적임을 기억하라.
    11. 사건을 스트레스로부터 분리시켜라. (거짓말인지 스트레스인지를 알아야 한다. 속단하지 말 것)
    12. 진정시키기는 많은 것을 말해준다.
  • 동시성과 강조를 포함하는 비언어 행동을 찾아 관찰하라

    • 동시성이 결여된 행동
      • 아니라고 대답하면서 살짝 고개를 끄덕이는 행동
      • 자신 자식의 실종 신고를 하는데 침착하게 말하는 행동
      • 눈에 띄게 행동이 늦게 나오고 강하지 않은 머리 움직임이 나타난다
  • 거짓말하는 사람은 두 번 강조하지 못한다 (움직임이 갑작스러운 변화를 발견하는 것이 중요)

    • 거짓말하는 사람

      • 강조가 부자연스럽다
      • 입을 가리고 말하거나 얼굴 표정을 억제한다
      • 표정을 통제하고 다른 움직임을 억제한다
      • 뒤로 물러서는 행동을 한다
      • 손가락을 턱에 대거나 볼을 만지는 등 신중한 행동을 보여준다
      • 손에 물건이 닿는 것을 피한다
      • 손바닥이 위로 간다는 것은 자신의 말에 확신이 없다는 뜻이다
      • 몸을 웅크린다
    • 진실된 사람

      • 손가락 끝으로 행동을 취하거나 물건을 건드린다
      • 눈썹을 올리고 눈을 크게 뜬다
      • 발뒤꿈치가 앞으로 기울거나 무릎을 올려서 몸을 앞으로 기운다
      • 무릎을 툭툭 친다
      • 손바닥을 아래로 할 때는 자신의 말에 확신이 있다
      • 몸을 곧게 핀다
  • 비언어 행동은 상대의 편안함과 불편함을 판단할 뿐 거짓을 완벽하게 파악하는 방법은 없다
    우리는 거리가 조금 떨어져 있는 표지판을 찾듯이 언어에만 집중한 대화를 해왔다.
    하지만 우리가 자세히 보지 못한 가까이에 있는 표지판, 즉 비언어에도 집중해서 상대방의 모든 언어를 파악하는 것도 좋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