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I 행동의 심리학 - 2. 뇌, 행동통제센터

2021. 1. 22. 13:01독서/자기계발서 및 심리학

Part 2 뇌, 행동통제센터

    1. 당신이 행동으로 누설하는 진실
    1. 뇌, 행동통제센터
    1. 얼굴, 감정의 리트머스 시험지
    1. 팔, 생존을 높이는 도구
    1. 손, 성공을 움켜잡는 기술
    1. 다리, 진실과 거짓이 밝혀지는 곳
    1. 몸, 생존의 최전선
    1. FBI, 요원의 속임수 간파하기

  • 인간의 뇌 : 파충류 뇌(뇌간) + 포유류 뇌(변연계 뇌) + 인간의 뇌(신피질)
    변연계는 상황이나 환경에 대해 생각 없이 반사적이고 순간적으로 반응하므로 그 사람의 진정한 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 인간의 뇌가 고통이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반응 3F(Freeze=정지, Flight=도망, Fight=투쟁)

    • Freeze(정지) : 상대방이 자신의 다리를 의자에 걸쳐 고정시키는 행동은 현재 상황이나 대화가 불편할 때 나타나는 행동이다.

    • 어깨를 귀쪽으로 올리는 거북이 효과*는 자존심이 상하거나 갑자기 자신감을 잃었을 때 나타나는 행동이다.

    • Flight(도망) : 의견이 일치하지 않거나 상대방을 불편하게 느끼면
      몸을 기울여 약간 거리를 둔다 or
      눈을 가리거나 비빈다 or
      손으로 얼굴을 가린다 or
      무릎에 물건을 올려놓는다 or
      출입구 가장 가까운 곳으로 다리를 돌린다.

    • Fight(투쟁) : 언어로 욕설을 하거나 물리적인 피해를 가하거나 상대방의 사적인 영역을 침범하는 등의 행동을 말한다.

  • 목을 만지거나 쓰다듬는 것은 스트레스에 반응할 때 나타난다.
    천돌을 가리거나 목걸이 만지거나 넥타이를 다듬는 행동을 포함한다.
  • 사람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나타나는 진정시키는 행동으로는
    이마를 문지른다 or
    볼이나 얼굴에 손을 댄다 or
    볼에 숨을 머금었다가 내쉰다 or
    얼굴 머리 목 어깨 팔 손 다리에 손을 댄다 or
    하품을 하거나 몸을 통풍시킨다 or
    무릎 위에 손바닥을 문지른다
  • 진정시키는 행동을 관찰할 때는 행동이 일어나는 시간을 토대로 원인을 찾아야 한다.
    이 때 스트레스가 클수록 얼굴이나 목을 만지는 정도가 심해지고 다른 비언어 신호도 같이 관찰한다.
    그리고 사람마다 진정시키는 기준선을 정해서 진정시키는 행동의 증감을 파악한다.